샤오미 미에어2를 구매 후 사용하기 시작한 지 약 2년. 그동안 필터교체를 한 번도 하지 않다가, 최근 들어 미세먼지가 심하기도 해서 관심 가지고 앱을 켜보니 수명이 7% 남아 있어서 이 참에 필터 교체 후 후기를 작성해 본다.
필터 가격, 교체시점 및 수명
샤오미 미에어2 공기청정기를 계속 사용하다보면 어느 순간 노란색 LED가 점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필터 잔량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교체하라는 신호다. 인터넷에서 샤오미 미에어2 필터를 검색하였는데, 샤오미 정품 필터와 호환이 가능한 비정품 필터가 모두 검색되었다. 사람들 댓글들과 블로그 후기 등을 보고 오류 걱정이 없는 정품을 사기로 결정하였다. 가격은 배송비 포함 29,900원.
샤오미에서 권장하는 필터 교체 주기는 3~6개월이다. 하지만 미홈(Mi Home) 앱에서 표시되는 필터 잔량이 아직 충분하여 미루고 미루다 보니 2년을 사용하게 되었다. 사용하던 필터를 처음 꺼내어 보았는데 역시나 먼지가 아주 많이 끼었다. 2년 동안 필터가 열일한 흔적이다.
필터 교체 및 리셋방법
교체 방법은 정말로 간단하다. 공기청정기 뒷면 커버를 열면 필터가 바로 드러나고, 커버에는 친절하게 교환 방법에 대해서 그림과 글로 적혀있다.
- 여과 필터 손잡이를 당겨 기존에 사용한 필터를 꺼낸다.
- 새 여과 필터의 포장을 벗긴 후
- 손잡이 모양처럼 표시되어 있는 부분이 뒤로 가게 하여 밀어 넣은 후 뚜껑을 닫아준다.
필터를 교체하고 난 후에는 반드시 리셋을 해주어야 관리가 편하다. 새 필터를 공기청정기에 알맞게 넣어준 후 뚜껑을 닫고 전원을 켠다. 그 후 뒷면에 있는 리셋버튼을 약 6초간 눌러주면 신호음이 울리고, 새로운 필터 수명을 체크하게 된다.
미홈(Mi Home) 앱 확인 및 필터 분리수거
필터를 교체한 후 리셋 버튼을 눌러주면 미홈 앱에서도 연동되어 필터의 잔량이 반영된다. 또한 필터를 교체할 때는 사용하던 필터를 빼준 후 새로운 필터를 넣기 전, 내부 공간을 진공청소기로 한번 청소해 주면 더욱더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집안 청소 시 창문을 활짝 열어 환기를 충분히 해주는 것도 필터의 수명을 늘리는 방법 중 하나다.
공기청정기 필터는 미세먼지 마스크와 비슷한 부직포 재질의 합성섬유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량제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된다. 탈취필터와 집진필터가 따로 구성되어 있는 분리형의 경우도, 탈취필터는 활성탄(탈취효과가 있는 숯을 가공)으로 만들어져 재활용이 불가능하므로 이 역시 모두 일반쓰레기에 버리면 된다.
'[내돈내산] 실사용 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돈내산] 삼성 비스포크 인덕션 3구(NZ63B6657XW) 추천하는 이유, 장점 및 단점 리뷰 (10) | 2023.05.20 |
---|---|
내돈내산 삼성전자 에어컨 q9000(AF17B6474TZN) 비스포크 투인원 2in1 사용 후기 (8) | 2023.05.14 |
[내돈내산] 삼성 비스포크 그랑데 AI 건조기(DV17A9720BW) 사용 후기, 적극 추천하는 이유 (11) | 2023.05.02 |
내돈내산 코세척기 6년 실사용 후기 (10) | 2023.04.09 |
내돈내산 코골이 방지 테이프 1주일 실사용 후기 (13)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