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예방접종이다. 폐렴은 감염 질환 중 사망률이 가장 높은 질환이며, 70~80대 노인의 사망원인 중 항상 5위 안에 꼽히는 질병이다.
폐렴 증상, 원인 및 예방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미생물에 감염되어 폐에 염증이 생긴 질환이다. 폐렴에 걸리면 보통 가래, 기침, 호흡곤란, 고열, 피로 등 증상이 나타나는데, 노인의 경우 적지 않은 환자들이 별다른 증상 없이 식욕 감퇴, 활동 감소 등 신체 변화만 나타나 인지하지 못하고 질환이 더욱 커진다.
폐렴을 일으키는 원인 중 약 30%를 차지하는 폐렴구균은 폐렴뿐 아니라 침습성 감염증(중이염, 수막염, 균혈증, 부비동염)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다.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은 사망률이 5~7% 정도로 높은 편이지만, 이는 예방접종만 잘해도 폐렴구균 감염에 의한 패혈증, 뇌수막염 등 심각한 합병증을 높은 확률로 예방할 수 있다. 폐렴구균에 감염이 잘되는 65세 이상 성인이나 당뇨병, 심장 질환, 신장 질환 등을 가지고 있는 만성 질환자들은 폐렴구균 백신을 반드시 접종하는 것이 좋은데, 이 외에도 아래와 같은 질환을 앓았던 적이 있는 사람도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
- 만성 심혈관 질환, 만성 폐 질환, 만성 간 질환, 당뇨병, 뇌척수액 누출, 면역 저하, 알코올 중독 등
폐렴 진단 및 치료
폐렴 증상이 의심되면 흉부 X-ray 검사와 객담 검사를 통해 진단을 할 수 있으며 조금 더 정확한 진단을 위해 혈액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치료방법은 아래와 같다.
- 외래치료 : 건강하고 특별한 질환이 없으며 증상이 경미한 상태인 경우의 치료방법이다.
- 약물치료 : 진통제, 항생제, 항진균제를 사용한다.
- 입원치료 : 심한 폐렴 환자나 신생아, 어린이, 노인 등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 치료방법이다. 기본적인 약물치료를 사용하고 대상포진 바이러스처럼 심한 바이러스성 폐렴 환자들은 아시클로버를 경구나 정맥으로 투여한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지원
정부에서는 만 65세 이상 국민들의 침습성 폐렴구균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에서 비용부담 없이 접종할 수 있도록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접종을 지원하는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 사업대상 : 만 65세 이상(1958.12.31. 이전 출생자, 2023년도 기준)
- 사업기간 : 연중
- 사업내용 : 폐렴구균 23가 다당 백신(PPSV23), 1회 접종 지원
- 접종기관 : 보건소(지소 및 진료소 포함) 및 지정의료기관
지정의료기관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nip.kdca.go.kr/irhp/mngm/goVcntMngm.do?menuLv=3&menuCd=334
예방접종도우미
어르신 폐렴구균 사업 지정의료기관 백신잔량 안내 백신잔량 안내 - 병의원명, 잔량 병의원명 잔량 백신 잔량은 지정의료기관에서 실제 보유량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안전한 예방접종 실시
nip.kdca.go.kr
폐렴구균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
- 건강상태가 좋은 날, 접종기관에 예방접종이 가능한지 사전 확인 후 방문한다.
- 예방접종 전 반드시 의사의 예진을 받아야 한다.
-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은 백신 선택(다당 백신 또는 단백결합백신) 및 접종 시기 등을 예진의사와 먼저 상담한다.
- 접종 후 20~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면서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한 후 귀가한다.
- 접종부위는 청결하게 유지한다.
- 접종 당일 음주나 지나친 운동, 샤워는 금하고 반나절 이상 안정을 취한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부작용
폐렴구균 백신은 접종 후 심한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이상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지만 매우 드물다.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경미하며 며칠 후 호전되는 일시적인 반응이 많다. 이상반응 중 가장 흔한 것은 접종부위 부어오름, 발적(붉어짐), 통증호소 등 국소반응이며 발열, 근육통 등 전신 이상반응이 있을 수 있다.
'[건강]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삐하는 소리 들릴때 - 이명(耳鳴) 원인, 치료, 이명에 좋은 음식(돌발성, 소음성 난청 이명) (6) | 2023.04.17 |
---|---|
간암 초기증상과 원인, 생존율 및 치료방법(간절제술, 간이식) (6) | 2023.04.16 |
백의 고혈압, 백의 고혈압 진단, 백의 고혈압 주의할 점 (16) | 2023.04.04 |
파킨슨병 초기증상 원인 검사, 파킨슨병 뇌심부자극술 정리 (12) | 2023.04.02 |
흡연과 간접흡연,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리는 이유 폐암에 좋은 음식 (14) | 2023.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