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집에 있는 냉장고 소리와 시계 소리 때문에 잠 못 드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아무런 소음이 없는데도 머릿속에서 '삐'하는 소리가 계속 들린다면 어떨까? 신경이 예민해지고 스트레스도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아무도 이해할 수 없는 그 증상, 바로 '이명' 얘기다.
이명 원인과 종류
'이명'이란 외부에서 들리는 소리가 아니라 본인이 신체 내부에서 들리는 소리를 의식적으로 느끼는 증상이다. 이명은 노화에 의한 난청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며, 아스피린, 스트렙토마이신(결핵약), 네오마이신, 카나마이신(항생제) 등의 약물을 장기간 복용했을 때도 나타날 수 있다. 만성 중이염일 경우, 달팽이관에 지속적인 염증 반응이 나타나 청력이 떨어지고 이로 인한 이명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외 교통사고나 머리 외상으로 인해 달팽이관이 손상되었을 경우, 달팽이관과 전정 기관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높아져서 생기는 메니에르병에 의한 이명이 있으며, 흔하지 않지만 청신경에 생긴 종양에 의한 이명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명을 일으키는 원인 | |
청각성 이명 | 비청각성 이명 |
돌발성 난청, 중이염, 노인성 이명, 외상성 이명, 소음성 이명, 약물중독, 메니에르 병, 신경종양 등 | 빈혈, 고혈압, 갑상선 질환, 동맥경화, 당뇨, 심장질환, 턱관절 장애, 경추의 이상 등 |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는 이명
이명 증상이 나타나면 계속 잡음이 들리고, 이 소음이 점점 심해지면 일상생활이 어려워진다. 이명은 외부의 소리 자극 없이 일어나기 때문에 어지럽거나 귀가 먹먹하고 피로가 함께 나타나며, 장기간 계속될 경우 우울증, 신경쇠약 등 정신 질환에 노출되기도 한다. 이명은 피곤하거나 신경을 쓸 일이 생길 때 가장 많이 나타나며, 조용하거나 긴장이 풀어지면 증상이 심해진다. 이명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소리 발생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특정한 장치를 통해 외부에서 신경에 거슬리지 않을 정도의 음을 지속적으로 들려주어 이명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장치다. 고주파 난청의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귓속형, 스피커형, 베개형 등이 있다.
이명 치료방법
이명은 난청이나 어지럼증이 나타나면 완치율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그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좋다.
- 보청기를 착용해 난청을 교정하면 이명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보청기 착용은 이명 치료에서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보청기를 신체 내부에 삽입하여, 청력 회복이 어려웠던 고주파 난청이나 심한 난청에도 효과가 있다.
- 약물요법은 달팽이관의 혈액 순환을 도와주는 약을 사용해 이명을 경감시키거나, 이명으로 인한 우울, 불안이나 수면장애를 도와준다.
- 이명재훈련 치료(이명상담 치료)도 있다. 뇌의 무의식 프로그램을 개발해서 이명을 중요하지 않은 소리로 판단하게 해 이명을 의식적으로 느끼지 않도록 하는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대부분의 이명이 완치될 수 있다.
상담 치료 결과는 이명에 대한 반응의 정도, 이명 인지의 정도, 삶에 대한 영향의 변화에 대해 최소한 6개월 이상 치료한 후 분석한다. 정상적으로 이명상담 치료를 받는 환자 중 80%가 치료 효과를 보이며 다른 치료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는 치료법이다.
이명의 악순환
이명 예방을 위한 방법
이명은 일상생활 속에서 몇 가지 사항을 주의하면 이명 증상 개선에 도움이 된다. 즉 이명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 과로, 스트레스 피하기
- 짠 음식, 카페인 음료 섭취 줄이기
- 당뇨, 고혈압 등 만성질환 관리하기
- 이명, 난청 발생에 악영향을 끼치는 진통제 과량 복용 금지
-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항생제, 이뇨제, 아스피린 등 귀에 부담을 주는 약 복용 시 의사와 상담하기
- 너무 큰 소음이 노출되는 것을 줄이기
참고로 이명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산수유, 호두, 굴, 브로콜리, 콩, 고등어, 달걀 노른자 등이 있다.
'[건강] A to Z'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력저하 두통 - 뇌하수체 선종(종양) 증상, 수술비용, 생존율 (8) | 2023.04.24 |
---|---|
복통이 심할 때, 급성 췌장염 증상 원인 치료방법 예방법 정리 (12) | 2023.04.21 |
간암 초기증상과 원인, 생존율 및 치료방법(간절제술, 간이식) (6) | 2023.04.16 |
폐렴 증상과 예방, 폐렴구균 예방접종 지원 및 부작용 (2) | 2023.04.09 |
백의 고혈압, 백의 고혈압 진단, 백의 고혈압 주의할 점 (16) | 2023.04.04 |
댓글